-
전체 교육과정
- 홍보담당자 실무역량 Level Up
- 홍보담당자 역량강화 워크숍
- 홍보담당자 현업 분석/자문
- 언론홍보 실무역량 Level Up
- 언론홍보 역량강화 워크숍
- 언론홍보 현업 분석/자문
- 보도자료 작성 역량 Level Up
- 보도자료 작성 역량강화 워크숍
- 보도자료 현업문제 분석/자문
- SNS홍보 실무역량 Level Up
- SNS홍보 역량강화 워크숍
- SNS홍보 현업 분석/자문
- 사보/웹진 실무역량 Level Up
- 사보/웹진 역량강화 워크숍
- 사보/웹진 현업 분석/자문
- 위기관리 실무역량 Level Up
- 위기관리 역량강화 워크숍
- 위기관리 현업 분석/자문
- 보도사진 촬영 역량 Level Up
- 관리자 홍보 트렌트 워크숍
- 공공정책 홍보 역량 Level Up
- 공공정책 홍보 종합 분석/자문
- 홍보성과 측정 및 전략 Level Up
- 홍보성과 측정 및 전략 워크숍
- 홍보성과 측정 및 전략 분석/자문
- 유튜브 기획 실무역량 Level Up
- 유튜브 기획 역량강화 워크숍
- 유튜브 기획 현업 분석/자문
- 도서관 홍보 역량 강화 연수
- 스타트업 언론홍보 Level Up
- 홍보대행사 실무교육
- 교육청 홍보 실무역량 강화 연수
- 국방정책 홍보 역량 강화 연수
- 과정로드맵
- 교육신청
과 정 명 - 홍보성과 측정(정량화) 및 홍보전략 수립 실무역량 Level Up | ||||||||||||
교육개요 | ||||||||||||
교육기간 | 2일 | 교육시간 | 총 16시간 | |||||||||
교육장소 | 강남 교육장 / 광화문 교육장 | 교육문의 | (02)6095-6890 info@pr-edu.co.kr |
|||||||||
교육비 | 600,000원(VAT면세) | 환급여부 | 비환급 과정 | |||||||||
교육신청 | ▼ 페이지 하단 참조 ▼ | 기타사항 | 교재비 및 중식비 포함 | |||||||||
교육일정 | ||||||||||||
구 분 | 1월 | 2월 | 3월 | 4월 | 5월 | 6월 | 7월 | 8월 | 9월 | 10월 | 11월 | 12월 |
광화문 교육장 | 25-26 | 23-24 | ||||||||||
강남 교육장 | 9-10 | 14-15 | ||||||||||
온라인 라이브 (ZOOM 활용) |
||||||||||||
교육소개 | ||||||||||||
구 분 | 내 용 | |||||||||||
교육목적 | - 홍보성과 정량화를 통한 홍보부서의 조직내 영향력 및 예산 확대 | |||||||||||
학습목표 | - 정량화 분석 능력에
기반을 둔 홍보효과 극대화 기법 확보 · 자원의 선택과 집중을 가능케하는 정량화 자료 제작 - 경영진이 납득하는 홍보성과 보고 능력 배양 · 빅데이터 분석으로 대중의 인식변화 정도를 수치화해 경영진 설득 |
|||||||||||
교육특징 | - 홍보팀에서 직접하는
홍보성과 측정을 위한 사용법 안내 (빅데이터 사용) - 다양한 데이터와 지표를 복합적으로 분석해 홍보성과 정량화 - 실제 기업 및 기관의 Raw 데이터 및 분석 결과 심층 분석 - 실무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활용 TIP 제공 |
|||||||||||
기대효과 | - 대중의 기간별(년/월/주/일) 인식변화를 정량 분석해 향후 홍보전략 수립 근거 자료로 활용 - 홍보성과의 정량 분석에 기반한 경영진 보고로 추가 자원(예산, 인력) 확보 용이 |
|||||||||||
교육대상 | - 홍보 업무의 정량 분석이 필요한 관리자 및 담당자 · 민간 : 홍보팀 홍보 담당자 · 공공 : 대변인실, 공보실 홍보 담당자, 현업 사업 담당자 |
|||||||||||
커리큘럼 | ||||||||||||
교육시간 | 내 용 | |||||||||||
1일차, 09:00~18:00(8H) 2일차, 09:00~18:00(8H) |
- 오리엔테이션 (명함 지참, 수강생간 인사) - 네트워킹 (첫 날 공동 점심식사 및 커피 타임 등을 통해 교육생간 원활한 의견 교환의 장 마련) |
|||||||||||
■ 홍보성과
측정의 목적 1. 홍보성과 측정의 의미와 목적 2. 홍보성과 측정의 목표 3. 홍보성과 측정 결과 활용 방안 4. 홍보성과 정량화의 필요성과 의미 |
||||||||||||
■ 홍보성과
측정 모델(이론)과 현업의 괴리 극복 1. 이론의 현업적용시 문제점 2.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분 · 적용이 용이한 '지표'만 선택 활용 3. 투입(Input), 산출(Output), 생성(Outtake), 결과(Outcome)의 의미분석과 현업적용의 현실성 4. 실질적 성화측정이 가능한 FGI |
||||||||||||
■ 홍보성과
분석(정량화)를 위한 지표 1. 지표의 종류와 의미 2. 지표별 활용 방법 3. 지표별 측정 방법 |
||||||||||||
■
홍보담당자가 직접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량화 분석 1. 대중의 정보 이용에 기반을 둔 분석 도구 · 네이버, 구글 등 포털 기반 2. 언론보도 톤(정성적 데이터)의 정량화 분석 도구 · 언론보도의 전체 워딩 분석 도구 3. 분석 목적에 따른 다양한 툴의 복합적 활용 · '대중의 정보이용 형태'와 '언론보도' 결과의 종합적 분석 |
||||||||||||
■
업무단위별 홍보성과 측정 및 분석 예시 1. 홍보 이벤트 (한 건 혹은 복합적 홍보효과 분석) 2. 위기관리 (언론과 대중의 인식변화의 '하루'단위 분석) 3. 연간성과 (년/월/주/일 단위 정량 홍보성과 분석) 4. 차기년도 홍보전략 수립 (연간 홍보성과에 기반을 둔 성과가 보장된 월별 계획 수립) |
||||||||||||
■ SNS
홍보성과 측정 1. 기본적 지표의 필요성 및 한계의 분명한 인식 2. 필수 추가지표 · 지표별 의미 · 지표별 계산식 3. '필수 추가 지표'와 '기본 지표'의 복합적 활용 · SNS 채널의 장기적이고 자연스러운 성장을 보장하는 지표 적용 4. SNS 채널별 지표 적용 및 활용 예시 · Youtube · blog |
||||||||||||
■ 종합적
홍보성과 측정 및 보고 사례 1. A기관(공공영역) 2. B기업(민간영역) |
||||||||||||
■ 홍보성과 측정 보고 TIP 1. 홍보성과 정량분석 보고시 주의사항 2. 경영진 설득 방안 |
||||||||||||
■ 기존 홍보성과 측정 기법과 한계 1. 실행 위주의 정량화 · ex) 보도자료 00회 배포, 기자미팅 0회 진행 2. 광고 기준 활용 정량화 · ex) 광고환산단가 0천만원 |
||||||||||||
※ 수료증 배부 및 교육만족도 조사 | ||||||||||||
과정안내 (다운로드 - 아래 이미지 클릭) | ||||||||||||
교육신청
교육비 납부
수강후기
게시물이 없습니다.